제주 포도뮤지엄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展 누적 관람객 2만명 돌파
국내외 작가 7인 작품 및 포도뮤지엄 자체 기획 5개 테마공간으로 구성
대중 눈높이 맞춘 기획과 장애·나이·언어 등 차별 없는 음성 안내로 호평

[뉴스투데이=전소영 기자] 제주도 소재 포도뮤지엄(PODO museum)에서 진행 중인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 전시가 개막 이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29일 포도뮤지엄에 따르면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 는 지난 7월 5일 개막해 두 달여 만에 누적 관람객 2만명을 돌파하는 등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디아스포라(diaspora)와 세상의 모든 마이너리티(minority)’를 주제로 한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 전시는 다양한 사연으로 터전을 벗어나 낯선 곳에 거주하게 된 이주자들과 소수자들이 처한 소외에 공감하고 모두가 어우러져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고찰을 제안한다.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는 대중적인 미술을 통해 더욱 많은 사람들에게 사회 문제를 공감하고 인식을 바꾸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자 기획됐다.
국내외 작가 작품들과 티앤씨재단(T&C재단)이 직접 기획한 테마 공간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에는 이배경, 리나 칼라트(Reena Kallat), 알프레도 & 이자벨 아퀼리잔(Alfredo & Isabel Aquilizan), 강동주, 정연두, 요코 오노(Yoko Ono), 우고 론디노네(Ugo Rondinone) 등이 참여했다.
대개 전시는 개막 초기에 많은 관람객들이 찾지만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는 입소문이 난 덕에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다.
무거운 주제를 공감할 수 있도록 풀어내고, 어려운 현대미술을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춰 상세하게 설명해 주는 것이 인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티앤씨재단은 작품들을 단순히 모아 배치하는 수준을 넘어 전시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영상 및 설치 미술 5점을 직접 구성했다.
개별 작가 작품들 사이사이에서 전시 주제를 관통하는 메시지를 담고 작품들이 하나의 스토리로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했다.
또 관람객들이 신체 능력, 나이, 언어 등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전시 환경을 만들었다.
시각장애가 있는 관람객을 위해 목소리로 작품을 상세히 묘사하는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음성 안내를 제공하며, 어린이 관람객을 위해 어린아이가 친구에게 말하듯 작품을 쉽게 설명하는 오디오 가이드와 한국어·영어·중국어· 일본어 등 음성 안내도 준비했다.
김희영 포도뮤지엄 총괄 디렉터는 “현대 사회에 만연한 다양한 갈등을 완화해야 할 시점”이람 “사회 구성원들이 서로를 주류와 비주류로 나눠 경계를 만드는 대신 서로를 포용하는 공감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