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리오프닝①] 방역 만리장성 쌓던 중국 제로코로나 변화조짐 솔솔

정승원 기자 입력 : 2022.11.20 11:01 ㅣ 수정 : 2022.11.20 17:38

시진핑 국가주석 3연임 성공하자 기존 무관용 제로코로나 봉쇄정책에 대한 출구전략 짜는 중국정부, 국민 피로도와 경제침체 탈피위한 본격적인 방역 완화 시기와 관련해서는 내년 상반기설이 유력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제로코로나’를 앞세워 코로나19와 관련해서 그 어느 나라보다 강력한 봉쇄정책을 펴고 있는 중국이 코로나 이후를 대비한 출구전략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정부는 공식적으로는 코로나 정책에 대해 “달라진 게 없다”고 부인하고 있지만 안팎에서 제로코로나 정책 폐기가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경제가 언제 본격적으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 들어갈 것인지는 의견이 엇갈리지만 분명한 것은 내년에는 중국도 오랜 봉쇄를 풀고 정상적인 경제활동 국가로 복귀할 것이란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펜데믹 이후를 겨냥해 서서히 리오프닝에 시동을 걸고 있는 중국의 움직임과 그 파장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image
코로나 검사를 위해 길게 늘어선 중국 베이징 시민들. [연합뉴스]

 

 

[뉴스투데이=정승원기자]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했을 때 중국은 발원국가로 낙인 찍혀 세계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중국정부는 우한 발원설을 적극 부인했고 세계보건기구(WHO)도 근원을 확인하기 어렵다며 중국의 손을 들어줬다.

 

발원국가 여부와 상관없이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방역정책을 들고나왔다. 록다운(봉쇄)으로 대표되는 코로나 방역정책은 코로나 환자가 나온 지역에 대해서는 도시 크기와 상관없이 무차별적으로 봉쇄에 들어가 추가확산을 막았다.

 

중국의 이같은 방역전략은 이후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자리매김했다. 제로코로나란 단 한 건의 감염이라도 나오면 그 지역을 봉쇄하고 격리한 후 해당지역 주민들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코로나 감염 여부를 확인한 후에야 풀어주는 정책이다.

 

코로나 초창기 호주와 뉴질랜드, 유럽 일부국가들도 비슷한 정책을 도입하기는 했지만 중국만큼, 강력하게, 또 장기간 봉쇄정책을 펴고 있는 나라는 현재 지구상에 없다.

 

중국이 안팎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앞두고 코로나가 사회문제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시행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중국은 인구가 14억2500만명에 달하는데다, 농촌지역 등에서도 여전히 전염병과 같은 질병에 취약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특히 높은 백신접종률에도 불구하고 치명률(사망률)이 높아 자칫 코로나가 다른 국가처럼 확산될 경우 1억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자체 개발한 백신인 시노백과 시노팜 등을 둘러싼 물백신 논란도 걱정을 키우고 있다.

 

내부 반발에도 불구하고 흔들림없이 제로코로나 정책을 고수해온 중국정부지만 지난10월 당대회를 통해 시진핑 주석의 3연임(사실상 종신집권)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데다, 봉쇄로 인한 사람들의 피로도 누적과 경제침체 등 부작용이 심각성을 더해가면서 슬슬 출구전략을 준비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image
중국 광둥성 광저우의 주민거주지역이 바리케이드로 봉쇄되어 있다. [연합뉴스]

 

 

중국이 최근 해외 입국자에 대한 격리기간을 기존 7+3(호텔 7일+자가 3일)에서 그냥 총 7일로 단축하기로 한 것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본격적인 출구전략 적용 시기에 대해서는 기대만큼 빨리 진행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책을 바꾸더라도 늘 시차를 두고 진행해온 중국정부 입장에서 무관용 제로코로나 정책을 하루 아침에 폐기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이미 밑밥은 준비중이다. 중국정부는 WHO에서 코로나19에 관한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할 경우 코로나19를 A등급 질병에서 B등급 질병으로 한 단계 낮추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질병 등급이 내려가면 방역 수위도 낮아져 자연스럽게 제로코로나 정책에서 탈피하는 수순을 밟겠다는 구상이다.

 

이와 관련,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의 출구전략이 내년 상반기에 가시화하고, 본격적인 경제활동 재개는 2023년말이 될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