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탑스, 베어로보틱스 서빙로봇 독점 제조 공급”
대기업들의 서비스로봇 산업 진출
[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유안타증권은 16일 인탑스에 대해 2020년부터 신규 사업 매출 비중 확대가 본격화됐다고 전했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인탑스는 1981년 6월 신영화학공사로 설립, 1997년 7월 인탑스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2002년 2월 상장됐다”며 “사업부는 IT디바이스, 자동차 부품, 가전제품 ASS’Y, 금형 등으로 구분된다”고 밝혔다.

권명준 연구원은 “2015년부터 기술 및 유휴설비를 활용하여 새로운 고객사 및 아이템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며 “초기에는 스타트업 위주의 프로젝트를 진행,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020년 진단키트향 매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신규 사업 매출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권 연구원은 “언론보도에 따르면 인탑스는 베어로보틱스의 2022년 서빙로봇을 독점적으로 생산 및 공급하고 있으며, 베어로보틱스는 2021년 5000대, 올해에는 1만대의 서빙로봇을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베어로보틱스는 국내에서 KT와 협업 중이며, 서빙로봇 판매 가격은 2000만원 내외 수준”이라며 “인탑스가 제품가격의 30% 수준으로 매출이 발생한다고 가정할 경우 5000대 기준으로 291억원, 1만대 기준으로 500억원 이상의 매출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탑스는 IT디바이스(스마트폰)와 가전제품 ASS’Y 사업 등을 통해서 플라스틱 사출과 금속 금형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며 “2015년 이후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다양한 제품 제조에 대한 경험을 확보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한 올해부터 베어로보틱스와 서빙로봇 제조사업을 통해 로봇 제품에 대한 제조기술과 대량 양산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며 “국내 대기업이 서비스로봇 관련 사업을 영위할 때 인탑스의 장점이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